4과목 전기위험방지기술
61. 인체의 손과 발사이에 과도전류를 인가한 경우에 파두장 700μs에 따른 전류파고치의 최대값은 약 몇 mA 이하 인가?
① 4 ❷ 40
③ 400 ④ 800
- 과도전류에 대한 감지전류 7x100(전압파형) = 40이하(전류파고치) / 5x65(전압파형) = 60이하(전류파고치) / 2x30(전압파형) = 90이하(전류파고치)
62.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에 접지공사를 할 때 접지저항의 최대값은 몇 Ω이하로 해야 하는가?
① 100 ② 20
❸ 10 ④ 5
-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접지저항 값은 10Ω 이하로 한다.
63. 욕실 등 물기가 많은 장소에서 인체감전보호형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와 동작시간은?
① 정격감도전류 30mA, 동작시간 0.01 초 이내
② 정격감도전류 30mA, 동작시간 0.03초 이내
③ 정격감도전류 15mA, 동작시간 0.01 초 이내
❹ 정격감도전류 15mA, 동작시간 0.03 초 이내
- 정격감도전류 30mA 이하 , 동작시간 0.03초 이내 (욕실 내 콘센트 15mA 적용)
64. 다음 중 전압을 구분할 것으로 알맞은 것은?
① 저압이란 교류 600V 이하, 직류는 교류의 배 이하인 전압을 말한다.
② 고압이란 교류 7000V 이하, 직류 7500V 이하의 전압을 말한다.
❸ 특고압이란 교류, 직류 모두 7000V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.
④ 고압이란 교류, 직류 모두 7500V를 넘지 않는 전압을 말한다.
- 저압 : 교류는 1kV dlgk , 직류는 1.5kV 이하인 것 / 고압 : 교류는 1kV를 직류는 1.5kV를 초과하고 7kV 이하인 것 / 특고압 : 7kV를 초과하는 것
65. 단로기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?
① 과부하 차단 ② 변성기의 개폐
③ 이상전압의 차단 ❹ 무부하 선로의 개폐
- 단로기는 개폐기의 일종으로 수용가 구내 인입구에 설치하여 무부하 상태의 전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거나 차단기, 변압기 , 피괴기등 고전압 기기의 1차 측에 설치하여 기기를 점검 , 수리할 때 전원으로부터 이들 기기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한다.
66. 전격의 위험을 결정하는 주된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 통전전류 ② 통전시간
③ 통전경로 ❹ 통전전압
- 통전전압은 간접적 영향으로 전압보타 통전전류의 크기 . 통전시간 , 통전경로 , 전원의 종류(교류 또는 직류)가 주된 인자이다.
67. 감전되어 사망하는 주된 메커니즘으로 틀린 것은?
① 심장부에 전류가 흘러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혈액순환기능이 상실되어 일어난 것
❷ 흉골에 전류가 흘러 혈압이 약해져 뇌에 산소 공급기능이 정지되어 일어난 것
③ 뇌의 호흡중추 신경에 전류가 흘러 호흡기능이 정지되어 일어난 것
④ 흉부에 전류가 흘러 흉부수축에 의한 질식으로 일어난 것
- 전격현상의 주된 메커니즘 : 심실세동에 의한 혈액순환기능 상실 , 호흡중추신경 마비에 따른 호흡정지 , 휼부수축에 의한 질식
68. 다음은 전기안전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한 것이다. 옳게 설명된 것은?
① 200V 동력용 전동기의 외함에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였다.
❷ 배선에 사용할 전선의 굵기를 허용전류, 기계적강도,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.
③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피뢰침 설비를 설치하였다.
④ 전선 접속시 전선의 세기가 30% 이상 감소되었다.
-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 폐지(한국전기설비규정) / 피뢰침설비 : 낙뢰로 인하여 생기는 화재 ,파손 또는 인축에 상해를 방지할 목적으로 하는 것을 총칭 / 전선 접속 시 전선의 세기를 20% 이상 감소시키지 아니할 것
69. 정격사용률이 30%, 정격2차전류가 300A인 교류아크 용접기를 200A로 사용하는 경우의 허용사용률(%)은?
❶ 67.5 ② 91.6
③ 110.3 ④ 130.5
- 허용사용률 = 정격사용률 x (정격2차전류 / 실제용접전류)2 = 30 x ( 300/200 )2 = 67.5%
70. 어느 변전소에서 고장전류가 유입되었을 때 도전성구조물과 그 부근 지표상의 점과의 사이(약 1m)의 허용접촉전압은 약 몇 V 인가? (단, 심실세동전류: , 인체의 저항: 1000Ω, 지표면의 저항률: 150Ωㆍm, 통전시간을 1초로 한다.)
❶ 202 ② 186
③ 228 ④ 164
- E = (Rb + 3ps/2 ) x Ik = (1000+3x150/2 ) x 0.165 = 202v
71. 아크용접 작업 시 감전사고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?
① 절연 장갑의 사용
❷ 절연 용접봉의 사용
③ 적정한 케이블의 사용
④ 절연 용접봉의 홀더의 사용
- 자동전격방지장치의 사용 , 2차 측 공통선의 연결
72. 인체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인체저항은 접촉면적에 따라 변한다.
❷ 피부저항은 물에 젖어 있는 경우 건조시의 약 1/12로 저하된다.
③ 인체저항은 한 개의 단일 저항체로 보아 최악의 상태를 적용한다.
④ 인체에 전압이 인가되면 체내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격의 정도를 결정한다.
- 건조한 경우에 비해 땀이 난 경우에는 1/12 , 물에 젖은 경우에는 1/25로 인체저항이 감소한다.
73. 저압방폭전기의 배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전선관용 부속품은 방폭구조에 정한 것을 사용한다.
❷ 전선관용 부속품은 유효 접속면의 깊이를 5mm 이상 되도록 한다.
③ 배선에서 케이블의 표면온도가 대상하는 발화온도에 충분한 여유가 있도록 한다.
④ 가요성 피팅(Fitting)은 방폭 구조를 이용하되 내측 반경을 5배 이상으로 한다.
- 관용 평행나사에 의해 나사산이 5산 이상 결합되도록 해야 한다.
74. Freiberger가 제시한 인체의 전기적 등가회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? (단, 단위는 다음과 같다. 단위: R(Ω), L(H), C(F)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C6sVQ/btrF3MBKfQm/Hydrpf8xXU3fkJ1ekl2LY0/img.jpg)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y7zm/btrF3LQm2A2/m2KMKHUTAKjgDHXDUR4SXk/img.jpg)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75. 전동기용 퓨즈 사용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?
① 과전압 차단
② 누설전류 차단
③ 지락과전류 차단
❹ 회로에 흐르는 과전류 차단
-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과(과전류를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보호) 한다.
76. 누전으로 인한 화재의 3요소에 대한 요건이 아닌 것은?
❶ 접속점 ② 출화점
③ 누전점 ④ 접지점
77. 교류아크 용접기의 자동전격 방지장치란 용접기의 2차전압을 25V 이하로 자동조절하여 안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. 다음 사항 중 어떤 시점에서 그 기능이 발휘 되어야 하는가?
① 전체 작업시간 동안
② 아크를 발생시킬 때만
③ 용접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동안만
❹ 용접작업 중단 직후부터 다음 아크 발생 시 까지
- 용접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용접기 주 회로를 개로시켜 용접이기 2차 측의 무부하 전압을 25V 이하로 저하시켜 용접기 무부하 시(용접을 행하지 않을 시) 에 작업자가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감전의 위험을 방지(용접작업 중단 직후부터 당ㅁ 아크 발생 시까지 유지) 한다.
78.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곳은?
① 기계기구를 건조한 장소에 시설한 경우
❷ 대지전압이 220V에서 기계기구를 물기가 없는 장소에 시설한 경우
③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2중 절연구조의 기계기구
④ 전원측에 절연변압기(2차 전압이 300V 이하)를 시설한 경우
- 누전차단기 적용 비대상 : 전기용품안전관리법 에 의한 이중절연구조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으로 보호되는 전기기계 기구 , 절연대 위 등과 같이 감전 위험이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 기구 , 비접지방식의 전로
79. 방폭구조와 기호의 연결이 틀린 것은?
① 압력방폭구조 : p
② 내압방포구조 : d
❸ 안전증방폭구조 : s
④ 본질안전방폭구조 : ia 또는 ib
- 안전증방폭구조는 e
80. 전격에 의해 심실세동이 일어날 확률이 가장 큰 심장 맥동주기 파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? (단, 심장 맥동주기를 심전도에서 보았을 때의 파형이다.)
① 심실의 수축에 따른 파형이다.
② 심실의 팽창에 따른 파형이다.
❸ 심실의 수축 종료 후 심실의 휴식 시 발생하는 파형이다.
④ 심실의 수축 시작 후 심실의 휴식 시 발생하는 파형이다.
- 심장의 맥동주기 : 전격이 인가되면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확률이 가장 크고 위험한 부분은 심실이 수축 종료하는 T파 부분이다. / T파 : 심실의 수축 종료 후 심실의 휴식 시 발생하는 파형이다.
'산업안전기사필기 > 2017년3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 해설 - 2017년 3회차 6과목 건설안전기술 (0) | 2022.06.30 |
---|---|
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 해설 - 2017년 3회차 5과목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(0) | 2022.06.30 |
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해설 - 2017년도 3회차 3과목 기계위험방지기술 (0) | 2022.06.30 |
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해설 - 2017년도 3회차 3과목 기계위험방지기술 (0) | 2022.06.19 |
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해설 - 2017년 3회차 1과목 안전관리론 (0) | 2022.06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