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과목 전기위험방지기술
61. 가로등의 접지전극을 지면으로부터 75cm 이상 깊은 곳에 매설하는 주된 이유는?
① 전극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
❷ 접촉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
③ 접지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
④ 접지선의 단선을 방지하기 위하여
- 접지봉을 깊게 박는 이유는 전위경도(보폭전압) , 접촉전압 및 접지저항을 감속시키기 위해서이다.
62. 내압방폭 금속관배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❶ 전선관은 박강전선관을 사용한다.
② 배관 인입부분은 씰링피팅(Sealing Fitting)을 설치하고 씰링콤파운드로 밀봉한다.
③ 전선관과 전기기기와의 접속은 관용평형나사에 의해 완전나사부가 “5턱”이상 결합되도록 한다.
④ 가용성을 요하는 접속부분에는 플렉시블 피팅(FlexibleFitting)을 사용하고, 플렉시블 피팅은 비틀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.
- 전선관은 후강전선관을 사용한다.
63. 정전용량 C1(μF)과 C2(μF)가 직렬 연결된 회로에 E(V)로 송전되다 갑자기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, C2 단자의 전압을 나타낸 식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Fb9n/btrEnto1iLn/WoFikxhLFOkULekpgqjuTk/img.jpg)
64. 충전선로의 활선작업 또는 활선근접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보호구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① 절연장화 ② 절연장갑
③ 절연안전모 ❹ 대전방지용 구두
- 대전방지용 구두는 절연성이 아닌 도전성을 높인 것이다.
65. 인체의 피부저항은 피부에 땀이 나있는 경우 건조 시 보다 약 어느 정도 저하되는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puvRq/btrEn0ft8QM/UfIIhlQUtATZTJOcuo3YDk/img.jpg)
- 피부에 땀이 있을 경우 건조 시의 1/12 ~ 1/20 로 감소한다. // 피부가 물에 젖어 있을 경우 건조 시의 1/25로 감소한다.
66. 정전기 재해방지를 위하여 불활성화 할 수 없는 탱크, 탱크롤리 등에 위험물을 주입하는 배관 내 액체의 유속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물이나 기체를 혼합하는 비수용성 위험물의 배관 내 유속은 1m/s 이하로 할 것
② 저항률이 1010Ωㆍ㎝ 미만의 도전성 위험물의 배관유속은 매초 7m 이하로 할 것
③ 저항률이 1010Ωㆍ㎝ 이상인 위험물의 배관유속은 관내경이 0.05m이면 매초 3.5m 이하로 할 것
❹ 이황화탄소 등과 같이 유동대전이 심하고 폭발위험성이 높은 것은 배관 내 유속은 5m/s 이하로 할 것
- 에테르 , 이황화탄소 등과 같이 유동대전이 심하고 폭발 위험성이 높은 것은 배관 유속을 1[m/s] 이하
67. 정전기로 인하여 화재로 진전되는 조건 중 관계가 없는 것은?
① 방전하기에 충분한 전위차가 있을 때
② 가연성가스 및 증기가 폭발한계 내에 있을 때
❸ 대전하기 쉬운 금속부분에 접지를 한 상태일 때
④ 정전기의 스파크 에너지가 가연성가스 및 증기의 최소점화 에너지 이상일 때
68. 화염일주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폭발성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에 온도를 높인 경우 화염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 한계치
❷ 폭발성 분위기에 있는 용기의 접합면 틈새를 통해 화염이 내부에서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틈새의 최대간격치
③ 폭발성 분위기 속에서 전기불꽃에 의하여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화염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교류파형의 1주기치
④ 방폭설비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불꽃이 생성된 경우에 그것이 점화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화염의 에너지를 억제하여 폭발 하한계로 되도록 화염 크기를 조정하는 한계치
69. 접지저항 저감 방법으로 틀린 것은?
① 접지극의 병렬 접지를 실시한다.
② 접지극의 매설 깊이를 증가시킨다.
❸ 접지극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한다.
④ 접지극 주변의 토양을 개량하여 대지 저항률을 떨어뜨린다.
70. Dalziel에 의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얻어진 전류값을 인체에 적용했을 때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전기에너지(J)는? (단, 인체 전기저항은 500Ω으로 보며, 흐르는 전류 mA로 한다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noi9/btrEiqHfjLI/2nJiUF3KxJi5CJFFowDFv1/img.jpg)
① 9.8 ❷ 13.6
③ 19.6 ④ 27
71. 접지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❶ 뇌해 방지를 위한 피뢰기는 제1종 접지공사를 시행한다.
② 중성선 전로에 시설하는 계통접지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시행한다.
③ 제3종 접지공사의 저항값은 100Ω이고 교류 750V이하의 저압기기에 설치한다.
④ 고ㆍ저압 전로의 변압기 저압측 중성선에는 반드시 제1종 접지공사를 시행한다.
72. 접지 목적에 따른 분류에서 병원설비의 의료용 전기전자(MㆍE)기기와 모든 금속부분 또는 도전 바닥에도 접지하여 전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한 접지를 무엇이라 하는가?
① 계통 접지 ❷ 등전위 접지
③ 노이즈 방지용 접지 ④ 정전기 장해방지 이용 접지
73. 정전기 발생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분리속도가 느리면 정전기 발생이 커진다.
② 정전기 발생은 처음 접촉, 분리 시 최소가 된다.
❸ 물질 표면이 오염된 표면일 경우 정전기 발생이 커진다.
④ 접촉 면적이 작고 압력이 감소할수록 정전기 발생량이 크다.
74. 정격전류 20A와 25A인 전동기와 정격전류 10A인 전열기 6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200V 단상저압 간선에는 정격 전류 몇 A의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는가?
❶ 200 ② 150
③ 125 ④ 100
75. 전기기기 방폭의 기본개념과 이를 이용한 방폭구조로 볼 수 없는 것은?
① 점화원의 격리 : 내압(耐壓) 방폭구조
❷ 폭발성 위험분위기 해소 : 유입 방폭구조
③ 전기기기 안전도의 증강 : 안전증 방폭구조
④ 점화능력의 본질적 억제 : 본질안전 방폭구조
76. 최소 착화에너지가 0.26mJ인 프로판 가스에 정전용량이 100pF인 대전 물체로부터 정전기 방전에 의하여 착화할 수 있는 전압은 약 몇 V정도인가?① 2240 ② 2260
❸ 2280 ④ 2300
77. 전기기계ㆍ기구의 기능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❶ CB는 부하전류를 개폐(ON-Off)시킬 수 있다.
② ACB는 접촉스파크 소호를 진공상태로 한다.
③ DS는 회로의 개폐(ON-Off) 및 대용량 부하를 개폐시킨다.
④ LA는 피뢰침으로서 낙뢰 피해의 이상 전압을 낮추어 준다.
78. 배전선로에 정전작업 중 단락 접지기구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적합한 것은?
① 통신선 유도 장해 방지
② 배전용 기계 기구의 보호
③ 배전선 통전 시 전위경도 저감
❹ 혼촉 또는 오동작에 의한 감전방지
79. 교류 아크용접기의 허용사용률(%)은? (단, 정격사용률은 10%, 2차 정격전류는 500A, 교류 아크 용접기의 사용전류는 250A이다.)
① 30 ❷ 40
③ 50 ④ 60
80.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의 교류전압을 피뢰기의 정격전압이라고 하는데 이 값은 통상적으로 어떤 값으로 나타내고 있는가?
① 최대값 ② 평균값
❸ 실효값 ④ 파고값
'산업안전기사필기 > 2016년3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6년 3회차 산업안전기사필기 기출문제해설 - 6과목 건설안전기술 (0) | 2022.06.09 |
---|---|
2016년 3회차 산업안전기사필기 기출문제 해설 - 5과목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 (0) | 2022.06.09 |
2016년 3회 산업안전기사필기 기출문제 해설 - 3과목 기계위험방지기술 (0) | 2022.06.09 |
2016년 3회차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 해설 - 2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(0) | 2022.06.09 |
2016년 3회차 산업안전기사필기 기출문제 해설 - 1과목 안전관리론 (0) | 2022.06.09 |